개발/React

Promise란

728x90

Promise 객체는 비동기 작업이 맞이할 미래의 완료 또는 실패와 그 결과 값을 나타냅니다.

Dart의 Promise랑 비슷하다

 

 

Promise는 프로미스가 생성될 때 꼭 알 수 있지는 않은 값을 위한 대리자로, 비동기 연산이 종료된 이후의 결과값이나 실패 이유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합니다. 프로미스를 사용하면 비동기 메서드에서 마치 동기 메서드처럼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최종 결과를 반환하지는 않고, 대신 프로미스를 반환해서 미래의 어떤 시점에 결과를 제공합니다.

Promise는 다음 중 하나의 상태를 가집니다.

  • 대기(pending): 이행하거나 거부되지 않은 초기 상태.
  • 이행(fulfilled): 연산이 성공적으로 완료됨.
  • 거부(rejected): 연산이 실패함.

대기 중인 프로미스는 값과 함께 이행할 수도, 어떤 이유(오류)로 인해 거부될 수 있습니다. 이행이나 거부될 때, 프로미스에 연결한 처리기는 그 프로미스의 then 메서드에 의해 대기열에 오릅니다. 이미 이행했거나 거부된 프로미스에 연결한 처리기도 호출하므로, 비동기 연산과 처리기 연결 사이에 경합 조건race condition은 없습니다.

Promise.prototype.then()  Promise.prototype.catch() 메서드의 반환 값은 다른 프로미스이므로, 서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Promise가 뭔가요?

“A promise is an object that may produce a single value some time in the future”

프로미스는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에 사용되는 객체입니다. 여기서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처리란 ‘특정 코드의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음 코드를 먼저 수행하는 자바스크립트의 특성’을 의미합니다. 비동기 처리에 대한 이해가 없으시다면 이전 글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와 콜백 함수’를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

 

 

Promise가 왜 필요한가요?

프로미스는 주로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할 때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때 서버에서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아오기 위해 아래와 같은 API를 사용합니다.

 

 

프로미스의 3가지 상태(states)

프로미스를 사용할 때 알아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 바로 프로미스의 상태(states)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상태란 프로미스의 처리 과정을 의미합니다. new Promise()로 프로미스를 생성하고 종료될 때까지 3가지 상태를 갖습니다.

  • Pending(대기) : 비동기 처리 로직이 아직 완료되지 않은 상태
  • Fulfilled(이행) : 비동기 처리가 완료되어 프로미스가 결과 값을 반환해준 상태
  • Rejected(실패) : 비동기 처리가 실패하거나 오류가 발생한 상태

 

Pending(대기)

먼저 아래와 같이 new Promise() 메서드를 호출하면 대기(Pending) 상태가 됩니다.

 

new Promise() 메서드를 호출할 때 콜백 함수를 선언할 수 있고, 콜백 함수의 인자는 resolve, reject입니다.

 

Fulfilled(이행)

여기서 콜백 함수의 인자 resolve를 아래와 같이 실행하면 이행(Fulfilled)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이행 상태가 되면 아래와 같이 then()을 이용하여 처리 결과 값을 받을 수 있습니다.

 

 

Rejected(실패)

new Promise()로 프로미스 객체를 생성하면 콜백 함수 인자로 resolve와 reject를 사용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여기서 reject를 아래와 같이 호출하면 실패(Rejected)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실패 상태가 되면 실패한 이유(실패 처리의 결과 값)를 catch()로 받을 수 있습니다.

 

 

여러 개의 프로미스 연결하기 (Promise Chaining)

프로미스의 또 다른 특징은 여러 개의 프로미스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앞 예제에서 then() 메서드를 호출하고 나면 새로운 프로미스 객체가 반환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코딩이 가능합니다.

 

 

그러면 위의 형식을 참고하여 실제로 돌려볼 수 있는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비동기 처리 예제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setTimeout() API를 사용하였습니다.

 

 

위 코드는 프로미스 객체를 하나 생성하고 setTimeout()을 이용해 2초 후에 resolve()를 호출하는 예제입니다.

resolve()가 호출되면 프로미스가 대기 상태에서 이행 상태로 넘어가기 때문에 첫 번째 .then()의 로직으로 넘어갑니다. 첫 번째 .then()에서는 이행된 결과 값 1을 받아서 10을 더한 후 그다음 .then() 으로 넘겨줍니다. 두 번째 .then()에서도 마찬가지로 바로 이전 프로미스의 결과 값 11을 받아서 20을 더하고 다음 .then()으로 넘겨줍니다. 마지막 .then()에서 최종 결과 값 31을 출력합니다.

 

 

실무에서 있을 법한 프로미스 연결 사례

실제 웹 서비스에서 있을 법한 사용자 로그인 인증 로직에 프로미스를 여러 개 연결해보겠습니다.

 

위 코드는 페이지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받아와 파싱, 인증 등의 작업을 거치는 코드를 나타내었습니다. 여기서 userInfo는 사용자 정보가 담긴 객체를 의미하고, parseValue, auth, display는 각각 프로미스를 반환해주는 함수라고 가정했습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죠.

 

 

 

현재 JavaScript를 다루는 개발자라면 Promise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입니다. 흔히 Promise에 대한 자료를 보면 callback hell을 해결해준다는 말이 많지만 이는 Promise의 진정한 가치는 아닙니다. 그러면 왜 사용할까요? callback의 호출 시점은 우리가 정할 수 없습니다. 반면 Promise는 원할 때 호출할 수 있습니다. then이 바로 그 시점이죠. 물론 resolve된 상태여야 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Promise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지 않고 깊은 이해가 없어도 진행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언젠가 비동기와 동시성에 제대로 공부하실 땐 아래 강의를 추천드립니다.

'개발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기식 처리 모델 vs 비동기식 처리 모델  (0) 2021.02.22
리액트 4주차 회고  (0) 2021.02.22
jest getby, queryby  (0) 2021.02.19
jest beforeEach  (0) 2021.02.19
Jest describe  (0) 2021.02.17